구글 검색의 최적화를 위한 기본작동 방식에 대한 정리

반응형

구글은 웹 크롤러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완전 자동화 검색엔진이다. 여기서 웹 크롤러란 조직적, 자동화된 방법으로 월드 와이드 웹을 탐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웹 크롤러가 하는 작업을 '웹크롤링' 또는 '스파이더 링)이라 부른다. 웹 크롤러는 정기적으로 블로그나 홈페이지를 탐색해서 색인에 추가할 사이트를 찾는다. 구글 검색 결과에 게재되는 사이트 소유가 사이트를 자동으로 발견하여 추가한다. 

 

구글은 웹페이지, 비즈니스 프로필 등 사용자 제출 콘텐츠, 도서스캔, 인터넷 공개 데이터베이스 등 다양한 소스에서 정보를 가져온다.

 

결론은 자동으로 작동한다.

구글 검색은 기본 세단계로 작동한다. 크롤링, 색인 생성, 검색 결과 게재이다.

첫째, 크롤링은 구글 크롤러라는 자동화 프로그램이 웹을 검색해 신규, 업데이트된 페이지를 찾는다. 그리고 나중에 볼 수 있도록 발견된 페이지의 주소를 큰 목록에 저장한다. 기본적인 방법은 구글이 알고 있는 페이지 링크로 따라가는 것이다. 크롤링할 수 있도록 페이지 사이트맵을 제출하는 것으로 발견이 된다.

 

둘째, 색인색성은 구글이 크롤링을 통해 파악한 페이지를 방문하여 각 페이지에 관한 정보를 분석한다. 자동 분석이며 페이지 콘텐츠, 이미지, 동영상 파일을 분석하여 어떤 페이지인지 파악한다. 구글 웹사이트 등록-> 색인 생성이 이런 절차인 것 같은데 자동으로 가져갈 수 있는 데이터를 만드는 게 중요할 것 같다. 

 

색인 개선방법은 페이지 제목은 짧고 굵고 의미있게 만든다. 또한 페이지 주제를 전달하는 페이지 제목을 사용한다. 이미지보다는 텍스트를 사용하여 콘텐츠를 전달한다.

 

셋째, 검색결과검색 결과 게재는 사용자가 구글을 검색하면 구글에서는 가장 높은 품질의 검색 결과를 결정하여 보여준다. 가장 높은 품질의 검색 결과에는 사용자 위치, 언어, 기기, 이전 검색어를 비롯한 여러 요소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사이트 순위는 구글 자체 알고리즘 방식으로 결정된다.

 

검색 결과 개선 방법은 모바일 친화적인 페이지를 만든다. 또한 유용한 콘텐츠를 포함하고 최신 상태로 유지한다. 양질의 사용자 환경을 보장하는 구글 웹마스터 가이드라인을 따른다.

 

구글은 알고리즘에 따라 크롤링하고 색인생성해서 검색 결과를 보여준다. 이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분석이 블로그 검색 순위에 조금 더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 같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