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공주의란? 연공서열과 성과주의 비교

반응형

목차

1. 연공주의, 연공서열제의 뜻

2. 연공주의, 연공서열제의 문제점

3. 연공주의의 반대말 : 능력주의, 성과주의

4. 결론

 

연공주의란? 연공서열제의 뜻

연공주의란 종업원을 승진시킬때 근무한 기간(얼마나 오랫동안)을 승진의 기준으로 삼는것을 말한다.

연공주의는 과거의 기업들이 도입했던 방식으로 오래 근무하면 승진하는데 있어 가점을 부여하여 승진을 시켰다. 즉, 연공서열제라는 말이 생겨서 오래근무할수록 서열이 높다는 뜻이다. 물론 한계는 있겠지만 그 한계치까지 근무만 쭉 하면 승진하게 되는것이다.

 

연공서열에는 4가지 종류가 있는데 근속연공제, 자격연공제, 부서내 연공제, 공장내 연공제가 있다. 어차피 종류가 다르지만 연공서열은 근속년수가 기준이 되는것이다. 

 

연공주의,연공서열제의 문제점

연공주의는 근속년수라는 객관적인 기준을 통해 승진의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사람들이 장기 근무에 따른 안정성을 보장하는것이 장점이다. 하지만 안정성이 보장되는 만큼 그에 대한 능력 발휘나 업무에 대한 동기부여가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소위 말하는 꼰대가 그 예이다. 오래근무했으니까 승진해야지? 내가 너때는 열심히 일했다 등 오래근무하면 밑에 사람들이 하겠지, 나는 그냥 버스탈래 이런 부작용들이 생기게된다. 물론 아닌경우도 있다. 

 

능력주의,성과주의

이러한 연공주의의 부작용들을 없애기위해 능력과 성과에 따른 승진부여, 혜택을 주고자하기위해 나온것들이 능력주의,성과주의이다. 능력주의,성과주의는 승진의 기준을 능력과 성과에 따라 기회와 가점을 부여하는것을 말한다. 능력,성과주의의 장점은 직원들이 성과기준으로 평가를 받기 때문에 능력이 최대한으로 발휘될수있다는 가능성과, 업무 능률이 상승한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것도 부작용이 있다. 부작용은 개개인의 성과가 중요시되기 때문에 개인주의화, 또한 뒤쳐지는 사람들은 동기부여 실패와 능력발휘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평가를 받을수도있다.

 

결론

연공주의와 성과주의 모두 장,단점이 있다. 하지만 과거는 연공주의 였다면 미래는 성과주의, 능력주의로 갈 가능성이 높으며 실제로 그렇게 되고있다. 이제는 평생직장이란 말이 희미해지고 있으며, 돈과 연봉에 따라 원하는 직장을 선택해서 가는것이다. 우리가 해야할것은 무엇인가? 원하는 직장을 선택해서 갈수있도록 능력을 갖추는것이 중요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