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여왕 효과 뜻 그리고 기업들의 예시와 성과

반응형

붉은여왕 효과 뜻

“붉은 여왕 효과” 또는 "Red Queen Effect"는 진화학에서 거론되는 원리로, 주변 자연환경이나 경쟁 대상이 보다 빠른 속도로 변화하려하기 때문에 어떤 생물이 진화를 하게 되더라도 상대적으로 적자생존에 뒤처지게 되며, 이를 보상하기 위해 끊임없이 서로 재시도를 하는 과정에서 결국 "자연계의 진화경쟁에선 어느 한쪽이 일방적인 승리를 거두지 못한다는 뜻"을 의미한다.

붉은 여왕 효과의 원리는 1973년에 시카고 대학의 진화학자 리 반 베일른 (Leigh Van Valen)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그는 해양 화석을 연구하면서, "멸종된 생물 대부분은 환경에 적응하지 못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원리는 루이스 캐럴의 소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속편인 <거울 나라의 앨리스>에서 붉은 여왕이 주인공인 앨리스에게 한 말에서 비롯되었다. 이 소설에서 붉은 여왕은 앨리스에게 ‘제자리에 있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뛰어야 한다.’고 말했다.

"붉은 여왕 효과"는 주로 진화론이나 경영학의 적자생존 경쟁론을 설명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붉은 여왕 효과의 경영학의 적용

"붉은 여왕 효과"는 경영학에서도 중요한 개념으로 사용된다. 이 원리는 기업이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발전해야만 경쟁에서 생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기업이 노동생산성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키려 노력하더라도, 주변 환경과 경쟁 상황이 함께 변화하기 때문에, 자산수익율(ROA, Return on Assets)은 계속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기업이 노력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려 해도, 경쟁 상황과 시장 환경의 변화로 인해 그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붉은 여왕 효과"는 기업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려면 "지속적인 혁신과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기업이 경쟁에서 지속적인 우위를 유지하려면, 기존의 원가우위 전략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탐험 활동에 자원과 에너지를 투입해야 한다. 이는 기업이 새로운 기술과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고, 그 변화를 통해 경쟁 우위를 창출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붉은 여왕 효과"는 기업이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혁신해야만 시장에서 생존하고 성장할 수 있다는 중요한 원칙을 경영학에 제시하고 있다.

 

붉은 여왕 효과 적용 기업의 예시

"붉은 여왕 효과"는 다양한 산업에서 적용될 수 있다. 이 원리는 기업이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발전해야만 경쟁에서 생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은 몇 가지 예시이다:

1. 제너럴 일렉트릭 (GE)과 도시바 : 두 회사는 모두 자신들의 주요 사업을 정리하거나 매각하고 있다. GE는 발명가 토머스 에디슨이 개발한 백열전구로 시작한 전구 사업을 정리하기로 결정했고, 도시바는 세계 최초로 노트북 PC를 상품화한 PC 사업을 매각하고 있다. 이들 회사는 '세계 최초’를 앞세워 세계 시장을 제패했지만, 경쟁 상황과 시장 환경의 변화로 인해 그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2.건설업계: 세계 최대 건설사인 벡텔 (Bechtel)은 '붉은 여왕 효과’를 인식하고 디지털 스타트업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벡텔은 2015년에 벤처캐피털인 '브릭 앤 모르타르 벤처스 (Brick & Mortar Ventures)'를 설립하고, 2020년까지 연평균 약 6888만 달러를 건설산업과 관련한 혁신적인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솔루션을 개발하는 디지털 스타트업에 투자했다.

3.제약·바이오업계: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시장에서는 '붉은 여왕 효과’가 많이 나타난다. 이 시장은 경쟁이 매우 치열하며, 기업들은 지속적으로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4.전자산업: 반도체, 디스플레이, 배터리 등에서 최초 기록을 세우고 1위를 찍은 우리 기업들도 예외는 아니다. 일본과 미국의 기업들이 삼성ㆍLG 등 한국 기업의 무서운 추격에 절감해야 했던 '붉은 여왕 효과’를 이제는 중국 기업들이 우리에게 실증해 보이고 있다.

이러한 예시들은 기업들이 '붉은 여왕 효과’를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지속적인 혁신과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응형